4살 때 전 아이들은 체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고 한다. 체할만한 음식을 안먹는 것도 있지만, 부모가 급히 먹이지 않기 때문이다. 그런데 어린이들마다 다르지만, 보통 4~5살쯤부터는 아이들이 급하게 밥을 먹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체해서 병원에 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. 어린이들은 체하면 구토가 가장 먼저 나타나고 그 다음에 정도에 따라 설사까지도 간다.
어린이 체했 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?
어린이 체했을 때 증상
아이가 체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들을 알아두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니 숙지하고 있으면 좋다. 여기서 주의할 점은 만약 고열이 난다면 장염을 의심해봐야 한다. 단순히 체한 걸로는 열이 나진 않는다고 한다.
체했을 때 증상
- 명치 부분이 아프다.
- 얼굴이 창백하고 손,발이 차갑다.
- 식은땀이 나고 기운이 없다.
- 음식을 먹지 않는다.
38도 이하의 미열은 나타날 수 있다. 체했다는 건 음식물이 위에서 넘어가지 못하고 막혀있는 증상이기때문에 장기들이 스스로 길을 뚫기 위해 열심히 움직이다보니 미열은 날 수 있다고 한다.
해결방법(민간요법)
일단 체한 듯한 느낌이 들면 음식을 먹이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게 가장 중요하다. 그리고 배 부분을 따뜻하게 감싸주고 물이나 보리차를 조금씩 먹여야 한다. 만약 설사를 심하게 한다면 수분섭취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.
그리고 배 마사지도 도움이 된다. 배꼽 주변으로 엄지와 검지를 통해 살살 문질러주는 것도 효과가 있다. 그리고 어느정도 소화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들 때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조금씩 주고, 잘 먹는다면 안심해도 된다.
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 두끼니 정도만 지나고 해결되지만, 만약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다음날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보통 심한 경우에는 설사까지 동반되니 수분섭취에 신경쓰면서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조금씩 먹이는 게 좋다.
- 음식보다는 휴식이 우선
- 배 부분을 따뜻하게 만들어주자
- 설사가 있을 경우, 수분섭취에 신경쓰자
- 엄마손은 약손 마사지를 꾸준히 해주자
해결방법(약물요법)
가장 유명한 약은 백초시럽과 꼬마활명수이다. 만 1세 이하의 아기들에게 소화제를 먹이는 경우는 당연히 없겠지만, 증상이 너무 심하다면 의사 진료 후 약을 먹일 수는 있다.
먼저 백초시럽은 소화 정장제이다. 스틱형이지만 한 포에 5ml가 들어있기 때문에 왠만하면 시럽약통에 넣어서 용량에 맞춰서 주는게 중요하다. 하루에 3회까지 먹일 수 있다.
백초시럽은 주로 설사를 하거나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, 배가 아플 때 주로 사용하는 약이다.
(상한 음식을 먹었을 때는 백초시럽)
나이 | 용량 |
만 1~2세 | 2ml |
만 3~4세 | 2.5ml |
만 5~7세 | 3.5ml |
만 8~10세 | 5ml |
꼬마활명수는 소화제이다. 둘 다 한방약인데, 백초시럽은 찬 성질의 한약재, 꼬마활명수는 따뜻한 성질의 한약재를 사용한다. 한 포에 10ml가 들어있고, 백초시럽과 마찬가지로 하루에 3회까지 먹일 수 있다.
꼬마활명수는 과식, 급체했을 때 주로 사용하는 약이다.
(찬 음식을 먹고 배탈이 났을 땐, 꼬마활명수)
나이 | 용량 |
만 1~3세 | 6ml |
만 3~5세 | 7.5ml |
만 5~8세 | 10ml |
만 8~11세 | 15ml |
약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휴식이다.
고열이 나지 않는다면 적당한 휴식 후 상황을 지켜보다가 약을 먹이는게 좋으며 만약 약을 먹여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그 땐 장염 외의 다른 문제(기생충 감염 등)가 있을 수도 있다.
그리고 손을 따거나 지사제를 먹이는 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.
참고로 위 약들을 전부 약국에서만 구입이 가능하다.
'의료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RI와 MRA의 차이점과 알 수 있는 질환, 비용까지 알아보기(Feat. 부모님건강검진) (0) | 2023.11.29 |
---|---|
탈모약 판시딜 정말 효과가 있나?(가격 및 부작용, 복용후기 체크) (2) | 2023.11.23 |
아기, 어린이 코막힘,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? (0) | 2023.11.16 |
도대체 언제 헤르페스 2형에 전염된걸까?(증상 발현부터 치료 과정) (0) | 2023.11.16 |
손가락 물집, 습진인 줄 알았는데 손가락 한포진.. 둘이 뭔 차이가 있는데!? (0) | 2023.11.11 |
댓글